대기발령의 의미, 대기발령과 징계와의 관계
대기발령의 의미, 대기발령과 징계와의 관계
1. 대기발령과 징계의 의미 및 차이
근로자에 대한 대기발령 또는 직위해제는 일반적으로 근로자가 직무수행능력이 부족하거나 근무성적 또는 근무태도 등이
불량한 경우, 근로자에 대한 징계절차가 진행 중인 경우, 근로자가
형사사건으로 기소된 경우 등에 있어서 당해 근로자가 장래에 있어서 계속 직무를 담당하게 될 경우 예상되는 업무상의 장애 등을 예방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당해 근로자에게 직위를 부여하지 아니함으로써 직무에 종사하지 못하도록 하는 잠정적인 조치이다.
이는 보직의 해제를 의미하므로 과거 근로자의 비위행위에 대하여 기업질서 유지를 목적으로 행해지는 징벌적 제재인
징계와는 그 성질이 다르다.
(대법원 1996.10.29 선고, 95누15926 판결;
2005.11.25 선고, 2003두8210 판결
등 참조)
2. 근로자에 대한 직위해제 처분의 정당성
또한 기업이 그 활동을 계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노동력을 재배치하거나 그 수급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 불가결하므로, 대기발령을 포함한 인사명령은 원칙적으로 인사권자인 사용자의 고유권한에 속한다 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인사명령에 대해서는 업무상 필요한 범위 안에서 사용자에게 상당한 재량을 인정하여야 하며, 이것이 근로기준법 등에 위반되거나 권리남용에 해당하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위법하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대법원 2002.12.26 선고,
2000두8011 판결; 2005.2.18 선고, 2003다63029 판결 등 참조)
근로자에 대한 직위해제처분의 정당성은 근로자에게 당해 직위해제사유가 존재하는지 여부나 직위해제에 관한 절차규정을
위반한 것이 당해 직위해제처분을 무효로 할 만한 것이냐에 의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또한 단체협약 또는 취업규칙 등에 ‘직무수행능력이 부족하거나 근무성적이
극히 불량한 자 또는 직원으로서 근무태도가 심히 불성실한 자’ 등과 같이 직위해제 또는 대기발령을 명할
수 있는 사유를 규정하는 한편, 대기발령기간 중 직위해제의 사유가 소멸 또는 해소된 때에는 지체없이
직위를 부여하되, 대기발령 또는 직위해제처분을 받은 자가 그 기간 중 능력의 향상 또는 개전의 정이
없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징계위원회의 동의를 얻어 면직할 수 있다는 규정을 두고 있는 경우, 위와 같은
규정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직위해제처분과 그에 이은 면직처분은 이를 일체로서 관찰할 때 근로자의 의사에 반하여 사용자의 일방적 의사에 따라 근로계약
관계를 종료시키는 것으로서 실질상 해고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므로 그 처분에 있어서는 근로기준법에 의한 제한을 받는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위와 같은 규정에 의하여 대기발령 또는 직위해제처분이 정당하게 이루어진 다음 그 대기발령기간 중
직무수행능력을 회복하거나 근무태도를 개선하는 등으로 직위해제사유가 소멸되지 않아 대기발령 또는 직위해제처분을 받은 자가 그 기간 중 능력의 향상
또는 개전의 정이 없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인사규정에 따라 행하여진 직위해제처분에 이은 면직처분은 인사권 내지 징계권의 남용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다고 할 것이다. (대법원 1995. 12. 5 선고 94다43351 판결 등 참조)
3. 참고 판례
대법원 판례(대법원 2006. 8.
25. 선고 2006두5151 판결)를 통해 구체적인 사안을 살펴보겠다.
대법원 2006. 8. 25. 선고2006두5151 판결
요 지
1. 원고가 노동조합 조합원들을 상대로 조합탈퇴를 권유하는 활동을
하고, 두 차례의 사원교육 불참과 중요업무 하달 건으로 회사임원이 4차례에
걸쳐 호출하였는데도 응하지 아니하였다는 등의 사실과 대기발령의 사유들을 종합하여 보면, 참가인의 원고에
대한 근로계약서 작성·제출 요구 및 원고가 이를 거부해 오고 있었던 사정 등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사회통념상
원고와 참가인 사이의 고용관계를 계속 할 수 없을 정도로 참가인에게 책임 있는 사유가 있다고 보아야 하고, 따라서
그 징계해고도 그 징계권을 일탈·남용하여 정당성이 없는 것으로 볼 수 없다.
2. 원고의 근무태도 등이 불량한 경우에 해당된다고 보아 잠정적인
조치로서 그 보직을 해제하고 대기발령을 명한 것을 두고, 그 업무상 필요한 범위 안에서 사용자에게 부여된
인사권의 상당한 재량을 일탈·남용한 것으로서 근로기준법 등에 위반되거나 권리남용에 해당하여 위법하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고 할 것이다.